HOME  >  상담실  >  교육정보
       
26 2018정시 3대 변수 체크..'영어등급차 적은 대학'주의보
조회수 : 3,231 
전년 경쟁률 기반으로 시사흐름 수시경쟁률 주목해야
 
올해 정시 경쟁률에 영향을 미칠 변수는 무엇일까. 2018 정시 원서접수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특히 올해는 영어 절대평가 도입의 영향으로 변별력이 줄어들어 눈치작전이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그만큼 경쟁률이 합불에 미치는 영향력을 감안해 신중한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수험생들은 2017정시 경쟁률과 2018수시 경쟁률 경향, 대학별 반영방법 등을 고려해 대략적인 경쟁률 추이를 가늠해볼 수 있다. 
 
올해의 최대 변수는 영어 절대평가 도입으로 인한 대학별 영어 반영방법 차이가 꼽힌다. 영어 1등급을 받지 못한 학생들이 본인의 불리함을 상쇄하기 위해 등급별 점수차가 크지 않은 대학에 쏠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 입시기관 관계자는 “올해 영어영역에서 등급별 점수차가 크지 않은 대학의 경우 영어 1등급을 받지 못한 수험생이 대거 몰릴 가능성도 있다”며 “대표적으로 고려대 서강대 중앙대가 올해 영어영역에서 점수차를 적게 둔 대학”이라고 설명했다. 
 
통상 수험생들이 대표적으로 활용하는 잣대는 전년도 경쟁률이다. 전년 경쟁률을 기반으로 올해 수험생들의 움직임을 예측해볼 수 있는 셈이다. 한 입시기관 관계자는 “입시 전문가의 경우라면 3년치 경쟁률을 놓고 경향을 살피는 경우가 많지만, 대다수 수험생들은 바로 한 해 전 경쟁률을 직접적인 잣대로 삼아 지원여부를 가늠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 때문에 전년 경쟁률이 다소 높았던 모집단위는 합격선 상승을 우려한 수험생들의 기피로 경쟁률이 낮아지고, 전년 경쟁률이 낮았던 모집단위는 합격선 하락을 노린 수험생들이 몰려 경쟁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이다.
 
그해 이슈를 기반으로 관심학과를 살필 수 있는 수시경쟁률을 살피는 것도 중요하다. 2018수시의 경우 예년과 마찬가지로 수의대 경쟁률이 높은 편이었다. 펫 산업의 확대로 수의대 경쟁률은 날로 상승하는 추세다. 2018정시 역시 수의대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2018정시 원서접수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올해 변별력이 낮아진 수능으로 수험생들의 막판 눈치작전은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년 경쟁률, 지난해 이슈학과 등을 분석해 면밀히 지원전략을 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베리타스알파DB

<‘영어 등급간 격차 적은’ 고려대 서강대 중앙대 경쟁률 ‘상승’ 가능성>
2018수능에서 첫 도입된 영어 절대평가는 정시 수능 반영방법 조정으로 이어졌다. 이에 따라 대학별 영어 반영방법에 차이가 생기면서 수험생에 따라 유불리가 발생하게 됐다. 영어 1등급을 받지 못한 경우라면 조금이라도 불리함을 상쇄할 수 있는 대학에 지원하는 경향이 뚜렷해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영어 등급별 점수차가 크지 않거나 영어 가산점의 영향이 크지 않은 대학의 경쟁률이 상승할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대표적인 대학이 고려대다. 영어를 등급별 감점으로 활용하며 감점 점수는 2등급 1점, 3등급 3점, 4등급 5점, 5등급 7점, 6등급 9점, 7등급 11점, 8등급 13점, 9등급 15점으로 크지 않은 편이다. 2등급 1점감점 이후로 2점씩 일정하게 낮아지는 구조다. 반면 연대는 영어를 일정비율 반영하고 있으며 1등급 100점, 2등급 95점, 3등급 87.5점, 4등급 75점, 5등급 60점, 6등급 40점, 7등급 25점, 8등급 12.5점, 9등급 5점으로 반영해 등급별 점수차가 큰 편이다. 등급이 더 낮아질수록 점수격차는 더 심해지는 구조다. 

서강대 역시 영어영역에서의 불리함이 덜한 구조다. 영어 등급별 가산점이 1등급 100점, 2등급 99점, 3등급 98점, 4등급 97점, 5등급 96점, 6등급 95점, 7등급 94점, 8등급 93점, 9등급 92점으로 등급간 점수차가 1점에 불과하다. 성균관대가 영어 가산점을 1등급 100점, 2등급 97점, 3등급 92점, 4등급 86점, 5등급 75점, 6등급 64점, 7등급 58점, 8등급 53점, 9등급 50점 순으로 부여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중앙대도 영어 영역 가산점이 크지 않은 편이다. 등급별 가산점은 1등급 20점, 2등급 19.5점, 3등급 18.5점, 4등급 17점, 5등급 15점, 6등급 12.5점, 7등급 9.5점, 8등급 5.5점, 9등급 0점으로 반영한다. 영어 영역에서의 불리함을 타 영역으로 만회할 수 있는 구조라는 점에서 경쟁률 상승 요인이 나타나는 대목이다. 한 입시기관 관계자는 “영어영역에서 1등급을 받지 못한 수험생은 영어에서 손해가 크지 않은 대학에 대거 쏠릴 가능성이 있다”며 “올해 영어에서 등급별 차이를 작게 설정한 대학의 경쟁률 상승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이 관계자는 “경쟁률 상승이 예상되는 대학에 ‘상향지원’하는 것은 위험한 전략”이라며 “신중한 지원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올해 대학별 수능 영어 반영방식은 가산점/감점/배점포함의 3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배점에 포함하는 대학이 12개교(건국대 경희대 단국대 동국대 서울시립대 숙명여대 연세대 이화여대 인하대 한국외대 한양대 홍익대)로 가장 많다. 계열 구분 없이 영어 반영비율이 동일한 대학 중 이화여대가 25%로 배점이 가장 높은 반면 한양대가 10%로 배점이 가장 낮다. 동대 숙대 인하대 외대는 20%, 건대 경희대는 15%로 반영한다. 
 
가산점으로 적용하는 대학은 서강대 성대 중대의 3개대학이다. 감점으로 적용하는 대학은 서울대 고려대의 2개대학이다. 서울대는 1등급의 경우 감점하지 않지만, 2등급부터 0.5점씩 차등감점한다. 

일반적으로 가감점을 부여하는 방식보다는 총점에 비율로 반영하는 대학에서 영어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A사는 “영어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가/감점 부여 대학을 중심으로 지원하고, 영어 성적이 높은 학생들은 총점에 비율로 반영하는 대학에 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전년도 경쟁률 ‘반비례’ 경향.. 막판 소나기 허수지원 유의>
‘눈치 작전’에 돌입한 수험생들은 주로 전년도 경쟁률을 기반으로 지원 여부를 가늠하는 경우가 많다. 지난해 역시 전년도 경쟁률이 낮았던 학과의 경쟁률이 상승하는 현상이 그대로 나타났다. 매년 경쟁률이 전년도와 반대로 나타나는 현상은 극심한 눈치작전을 증명한다.
 
고려대 국어국문학과의 경우 2016학년 8.42대 1에서 2017학년 2.29대 1로 하락한 반면, 중어중문학과는 2016학년 4.08대 1에서 2017학년 9.56대 1로 상승했다. 한국외대는 베트남어과의 경우 2016학년 4.5대 1의 경쟁률에서 2017학년 10.5대 1로, 국제통상학과는 2016학년 3.27대 1에서 2017학년 7.94대 1로 두 배 넘게 경쟁률이 상승했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지난해 경쟁률이 높았던 곳은 올해 수험생들이 기피하고, 반대로 지난해 경쟁률이 낮았던 곳은 지원자들이 심적 부담이 덜해 몰리는 경우가 많다”며 “큰 틀에서의 지원경향을 토대로 본인의 지원전략을 세워보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변별력 있는 수능으로 안정지원이 예상됐던 2017정시에서조차 눈치작전이 기승을 부린 것에 비춰 올해는 수능 변별력 하락으로 인한 눈치작전이 더욱 극심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2018수능에서 영어 1등급 비율은 10.03%로 확연히 늘어났다. 상대평가 체제에서 치른 2017수능의 경우 90점 이상 비율이 7.8%였던 점을 고려하면 난이도가 대폭 하락한 셈이다. 국어와 수학 역시 2017수능보다 쉬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1등급을 구분하는 표준점수가 2017수능의 경우 국어 130점, 수학(가) 124점, 수학(나) 131점이었으나 2018수능에서는 국어128점, 수학(가) 123점, 수학(나) 129점으로 일제히 하락했다.
 
반면 원서접수 마감직전 경쟁률을 잣대로 지원여부를 결정하는 ‘소나기지원’은 지양하는 것이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소나기 지원은 합격가능성을 높이는 데는 큰 실효성이 없는데다, 오히려 시스템 문제로 인한 접수불가 사태가 발생할 위험성을 안고 있기 때문이다. 
 
2017정시 역시 눈치작전은 치열했다. 특히 ‘SKY'대학으로 불리는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에 소나기지원이 몰리며 경쟁률 상승을 견인하기도 했다. 서울대의 경우 총 지원자의 44.91%(1782명)가 막판 세 시간동안, 고려대의 경우 총 지원자의 47.42%(2221명)가 막판 두 시간 동안, 연세대의 경우 총 지원자의 40.96%(2681명)가 막판 세 시간 동안 몰렸다. 
 
소나기지원이 몰린 결과 세 대학의 경쟁률은 일제히 상승했다. 2017 서울대 정시 경쟁률은 4.12대 1로 3년간 최고경쟁률을 기록하며 전년 3.74대 1보다 상승했다. 2017 고려대 정시 경쟁률은 4.12대 1로 전년 4대 1보다 상승했다. 2017 연세대 정시 경쟁률은 4.83대 1로 전년 4.8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
 
2016학년 역시 소나기지원은 여전했다. 상위15개교(한국외대 고려대 서울대 중앙대 건국대 연세대 성균관대 서강대 숙명여대 동국대 한양대 경희대 홍익대 서울시립대 이화여대, 마감직전 지원율 높은 순)에서 총 지원인원 11만1358명 중 38%에 달하는 4만2736명이 마감직전 지원했다. 가장 극렬한 소나기 지원을 받은 대학은 한국외대였다. 모집인원 1595명의 한국외대는 마감직전만 해도 3506명의 지원으로 2.2대 1의 경쟁률을 기록 중이었으나, 막판 여섯 시간 동안 4720명의 지원을 더 받으며 최종 8226명 지원으로 5.16대 1의 경쟁률로 급등했다. 
 
마감직전 미달인 학과는 소나기지원으로 인해 최고경쟁률로 탈바꿈하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오히려 지원에 유의해야 한다. 2016학년의 경우 연세대 중어중문과가 대표적이다. 마감 두 시간 전만 해도 11명 모집에 10명 지원으로 0.9대 1의 미달을 기록하다, 두 시간 동안 무려 118명의 지원이 쏟아지며 11.64대 1로 마감했다. 고려대 국문학과는 마감 세 시간 전까지 19명 모집에 17명 지원으로 미달을 기록하다가 세 시간 동안 144명이 몰리며 8.47대 1로 고려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 한 교육계 관계자는 “내가 지원을 노리는 학과는 다른 수험생도 함께 지켜보고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 한다”며 “운을 바라고 지원하는 것은 위험한 전략”이라고 조언했다. 
 
<‘하향지원’ 안심 금물.. 합격선 상승 반전 가능성> 
지난해 입결이 낮았던 학과라도 하향지원하는 상위권학생이 늘어나는 경우 합격선이 높아지는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 B사는 “올해 수능 변별력 하락으로 눈치작전이 어느 때보다 심할 것으로 보이므로 막판에 경쟁률이 치솟는 학과들이 발생하거나 하위권 학과의 합격선이 높아지는 변수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안성/적정 지원 경향을 보일 때는 상위권대의 경우 하위권 학과에 오히려 많은 수험생이 몰리기도 경우가 많아 유의해야 한다. ‘학과’보다는 ‘대학’의 이름을 보고 지원하는 경향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B사는 “상위권 학과에 비해 하위권 학과에 변수가 많으므로 하위권 학과를 안정 지원으로 안심하고 타 모집군에서 상향 지원 시 모든 모집군에서 불합격할 수도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정시 경쟁률의 경우 경희대에서는 철학과 6.5대 1, 6.44대 1로 6대 1을 넘는 경쟁률이었으며 연세대는 문헌정보학과가 10대 1로 인문계열 최고 경쟁률을 나타내기도 했다. 고려대 역시 독어독문학과 6대 1, 환경생태공학 5.11대 1 등으로 합격선이 비교적 낮은 학과들의 경쟁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시사이슈 관련 학과.. 2018수시경쟁률 주목> 
지난 한 해 시사이슈로 가장 주목을 받은 학과는 어디일까. 그 해의 주목학과는 경쟁률 상승의 요인을 안고 있기 때문에 지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한해 이슈를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직접적인 잣대인 2018 수시 지원 경향을 살펴보면 가장 주목 받은 전공은 수의예과였다. 수의예과와 동물 관련학과의 경쟁률 상승은 최근 방송을 통해 늘고 있는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 수의예과는 지난해 수시에서 B사가 분석한 9개대학의 9개전형 기준, 8개전형에서 일제히 경쟁률이 상승했다. 경북대 수의예과는 논술(AAT)전형에서 의예과를 꺾고 치의예과 다음으로 높은 162.13대 1을 기록하기도 했다. 타 대학과 비교해도 가장 높은 경쟁률이었다. 건국대는 KU논술우수자에서 140.2대 1로 100대 1을 넘는 경쟁률을 기록해 뒤를 이었다. 건대는 KU논술우수자 전체 경쟁률은 하락한 반면 수의예과 경쟁률이 전년 100.7대 1보다 크게 높아져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어 제주대 일반1 66.22대 1, 충북대 학생부교과 25.83대 1, 충남대 일반 25.24대 1, 경상대 교과성적우수자 21.5대 1, 전북대 일반학생 16.08대 1, 전남대 학생부교과일반 14.6대 1, 서울대 일반 7.32대 1 순이다. 제주대 수의예과(일반1)의 경우 전형 평균 경쟁률인 8대 1의 8배에 달하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특징이다. 전년 22.64대 1과 비교하면 상승세는 더욱 뚜렷하다. 

B사가 분석한 9개대학의 9개 주요전형 기준, 충북대 학생부교과를 제외한 나머지 전형에서 수의예과는 모두 상승을 기록했다. 경북대 논술(AAT)는 2017학년 107.18대 1에서 2018학년 162.13대 1로, 건대 KU논술우수자는 2017학년 100.7대 1에서 2018학년 140.2대 1로, 제주대 일반1은 2017학년 22.64대 1에서 2018학년 66.22대 1로, 충남대 일반은 2017학년 16대 1에서 2018학년 25.24대 1로, 경상대 교과성적우수자는 2017학년 16.69대 1에서 2018학년 21.5대 1로, 전북대 일반학생은 2017학년 14.6대 1에서 2018학년 16.08대 1로, 전남대 학생부교과일반은 2017학년 13.8대 1에서 2018학년 14.6대 1로, 서울대 일반은 2017학년 6.48대 1에서 2018학년 7.32대 1로 각각 상승했다. 
 
- 원자력, 탈원전 이슈 불구.. 반전 ‘상승’ 
반면 원자력 관련학과는 새정부의 탈원전 방침으로 인한 경쟁률 하락 예상에도 불구하고 의외의 반전으로 상승을 기록했다. 입결하락을 노린 상승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했다. 10개대학의 24개전형을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경쟁률이 상승한 전형은 14개다. 전년 9개에서 더 늘어났다.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한양대 논술에서 원자력공학의 경쟁률이 64.11대 1로 가장 높았다. 전년 44.78대 1 대비 상승한 수치다. 한대 원자력공학은 학생부종합과 학생부교과에서도 모두 경쟁률이 상승한 특징이다. 학생부종합의 경우 2017학년 11.92대 1에서 2018학년 12.17대 1로, 학생부교과의 경우 2017학년 4.6대 1에서 2018학년 8.2대 1로 상승했다. 
 
이어 중대 에너지시스템공학(논술) 54.89대 1, 경희대 원자력공학(논술우수자) 34.57대 1 순이었다. 중대는 원자력공학을 포함한 3개의 세부전공으로 구성된 에너지시스템공학부로 선발하는 특징이다. 전형별 경쟁률을 살펴보면 학생부교과 12.7대 1, 다빈치형인재 9.94대 1, 탐구형인재 7.71대 1로 각각 2017학년 대비 상승한 모습이나 논술은 54.89대 1로, 2017학년의 68.56대 1보다는 하락했다. 
 
- 조선해양학과 의외의 ‘상승’.. 전년 경쟁률/입결 하락으로 수험생 몰려
의외의 결과는 조선해양학과 경쟁률의 상승이다. 최고 선호대학인 서울대에서는 하락세가 뚜렷했지만 여타 대학에서는 상승한 대학이 더 많았다. 조선/해운업계가 불황을 겪으면서 발생한 구조조정 여파 등이 대입에도 영향을 미쳐 2017학년 일제히 경쟁률이 하락한 점과 대비된다. 수시에서의 경쟁률 상승이 정시까지 이어질 수 있을지 여부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17개대학 35개전형에서 경쟁률이 가장 높은 곳은 부경대 조선해양시스템공학(교과성적우수자)으로 58.14대 1의 경쟁률이었다. 전년 5.88대 1에서 크게 치솟은 모습이다. 뒤를 이은 인하대 조선해양공학(논술우수자) 역시 42.4대 1로 전년 30.61대 1에서 상승했다. 이어 부경대 조선해양시스템공학(창의인재) 31.83대 1, 동아대 조선해양플랜트공학(교과성적우수자) 22.1대 1, 한국해양대 조선해양시스템공학(지역인재) 13대 1, 목포대 조선해양공학(학생부교과) 12.53대 1, 인하대 조선해양공학(학생부교과) 11.36대 1 순으로 10대 1을 넘는 경쟁률이었다. 
 
- 군사/국방학과 수도권 ‘하락’.. 간호학과 꾸준한 인기 ‘상승’ 
군사학과와 국방/안보 관련학과 경쟁률은 일부 수도권 대학의 경쟁률이 하락했다. 대표적인 국방학과로 손꼽히는 고려대 사이버국방학(특기자)은 2017학년 6.89대 1에서 2018학년 5.44대 1로 감소했다. 세종대 항공시스템공학(항공시스템) 역시 2017학년 14.36대 1에서 2018학년 13.43대 1로, 원광대 군사학(군사학과)은 2017학년 11.57대 1에서 2018학년 9.21대 1로, 아주대 국방디지털융합학(국방IT우수인재1)은 2017학년 8.9대 1에서 2018학년 8.75대 1로 하락했다. 
 
간호학과 경쟁률은 여전히 상승추세다. 타 학과 대비 취업이 비교적 안정적이라는 점 때문에 수험생들의 꾸준한 선호학과로 자리잡았다. B사가 분석한 17개대학 17개전형 기준 경쟁률이 가장 높았던 곳은 경희대 논술우수자로 101.6대 1의 경쟁률을 나타냈다. 전년 101대 1에서 소폭 증가하면서 타 대학 대비 월등한 경쟁률을 나타낸 모습이다. 이어 인하대 논술우수자 83.56대 1, 가톨릭대 논술 62.18대 1, 한대 논술 51.13대 1 순으로 50대 1을 넘는 경쟁률이었다. 
 
특히 인하대 논술우수자는 2017학년 68.23대 1에서 2018학년 83.56대 1로, 가톨릭대 논술은 2017학년 47.18대 1에서 2018학년 62.18대 1로, 연세대 일반은 2017학년 24.4%에서 2018학년 36.69대 1로 크게 상승했다. 
 
[베리타스알파=권수진 기자]
등록일 : 2018-01-04 오전 9:18:45